반응형

※ 작성일 2024년 3월 6일, 스크리브너 버전 3.1.5.1 기준입니다.

최근 업데이트에서 설치 과정의 대화 창이 몇 개 추가되었습니다.

 

반응형

 

Choose Backup Folder

설치하기 전에 백업 폴더를 미리 지정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폴더를 따로 관리하시려면 기타 경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백업을 사용하지 않거나 기본 설정 그대로 사용하려면 무시하고 Next로 진행합니다.

 

Choose Default Shortcut Scheme

단축키 구성을 선택하는 옵션 창입니다. 구 버전의 구성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무시하고 Next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Take Tutorial?

자습서(튜토리얼)를 곧바로 실행할 수 있는 대화 창이 추가되었습니다.

자습서로 학습해 보시려면 대화형 자습서 바로 실행(Take the Interactive Tutorial Now)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영어로 되어 있어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군요.

스크리브너 실행하기(Start Using Scrivener)를 선택하면 설치가 종료되고 스크리브너가 바로 실행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스크리브너 무작정 따라하기》는 윈도우 버전 전용으로 집필되었습니다. 그러나 맥 유저도 무따기로 학습하시는 데는 큰 지장이 없답니다

더보기

 

이것은 제가 집필 과정에서 늘 염두에 두고 있었던 지점이기도 합니다. 

스크리브너의 근간은 역시 맥 버전이지요. 무슨 말인가 하면, 스크리브너는 맥 버전으로 먼저 만들어진 이후에야 윈도우 버전으로 컨버전 된다는 뜻입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랬습니다. 

결과적으로 윈도우 버전 스크리브너는 맥 버전보다 약간 기능이 떨어지는 형태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맥에서 작동하지만 윈도우에서 작동하지 않는 기능’은 빼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요. 순서가 맥 → 윈도우이다 보니, 그 반대의 기능, 즉 윈도우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일은 여간해선 일어나지 않아요.

 

반응형

 

교재에 다음 사항을 가필해 두시면 무따기로 맥 스크리브너를 충분히 익히실 수 있을 거예요. 필요하시면 아래 PDF 파일을 출력해서 활용하세요.

스크리브너_무따기_맥_가이드_230516.pdf
0.27MB

 

1. 이런 점이 달라요

스크리브너 윈도우 버전과 맥 버전의 주요한 차이점입니다. 교재에 설명되어 있는 내용만을 정리했습니다.

(1) 일부 메뉴의 이름/위치가 달라요

특히 맥 버전에는 윈도우 버전에 없는 Scrivener 메뉴가 있는 탓에 구성의 차이가 생기고 있습니다.

  • 이름이 다른 경우 : 스크래치패드
    • 윈도우 버전에서 Window - Scratchpad 로 표시되지만,
    • 맥 버전에서는 Windows - Show Scratchpad로 되어 있습니다.
  • 위치가 다른 경우 : 테마
    • 윈도우 버전에서 Window - Theme에 있지만,
    • 맥 버전에서는 Scrivener - Theme에 있습니다. 
  • 이름과 위치가 모두 다른 경우 : 메인 옵션
    • 윈도우 버전에서 File - Options이지만,
    • 맥 버전에서는 Scrivener - Preferences입니다.

메인 메뉴의 Help - Search Menubar를 이용하시면 메뉴를 이름으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교재에 등장하는 메뉴명을 입력하여 맥 버전에서의 메뉴를 찾아보세요. 메뉴가 검색되지 않으면 키워드를 조금씩 바꾸어 가며 입력해 보세요.

(2) 일부 단축키가 달라요

윈도우 버전의 Ctrl 키는 맥의 (Command) 키로 대체되고, Alt 키는 (Option) 키로 대체됩니다.

가령 윈도우 버전의 Ctrl + Q는 맥에서 ⌘ + Q입니다.

이것은 대원칙으로, 몇몇 예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대원칙을 기억해 두시면 교재를 참조하시는 데 불편함이 없을 것입니다.

메인 옵션의 외관 차이 : 윈도우(왼쪽) vs 맥(오른쪽)

(3) 그 밖의 다른 점

  • 윈도우의 파일 탐색기는 맥에서는 파인더(Finder)입니다.
  • 윈도우의 /[사용자명]/Documents는 맥에서 ~/Documents = /Users/[사용자명]입니다.
  • 툴바의 아이콘 등 일부 구성요소의 모양과 배치가 교재의 예시 이미지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식별이 어려울 정도는 아닙니다.
  • 가져오기(Import) 한 자료의 형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가령 웹 페이지를 불러들인 결과는 맥 버전과 윈도우 버전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2. 이런 내용이 없어요

맥에서만 동작하는 기능은 (당연히도) 교재에 나오지 않습니다. 무따기에서 설명하지 않는 맥 버전 스크리브너의 대표적인 몇 가지 기능입니다.

  • 맥북 프로에서 스크리브너를 실행하신다면 터치 바(Touch Bar)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북 프로의 스크리브너 터치 바 메뉴

  • 맥 버전 스크리브너에는 나이서스(Nisus Writer), 벨룸(Vellum Book Creation Tool) 등 맥 전용 앱을 위한 메뉴가 있습니다.
  • 맥에서는 아이튠즈(iTunes), 아이클라우드(iCloud), 기타 서드 파티 앱을 스크리브너와 연동하실 수 있습니다.

 

3. 맥과 윈도우를 함께 쓰실 때

맥 OS와 윈도우에서 스크리브너 프로젝트를 공유하며 작업하실 때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주세요.

  • 스크리브너 프로젝트 간의 교환/호환은 스크리브너 맥 버전 2.7 이상, 윈도우 버전 1.8 이상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최신 버전에서조차 교환/호환되지 않는 정보가 있습니다. (가령 프로젝트 즐겨찾기, 레이아웃 등) 이는 OS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누락입니다.
  • 스크래치패드 파일을 맥 기본 문서 형식인 .RTFD로 관리하면 윈도우 버전 스크리브너에서 불러들일 수 없습니다. 기타 범용 파일 형식을 활용하세요.
  • 소위 디자인 측면에서 맥은 윈도우보다 커버하는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맥에서 작업한 프로젝트를 윈도우에서 열 경우, 소소한 서식과 스타일이 공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상적인 누락입니다.
  • 맥에서는 스크리브너 프로젝트가 패키지 형태로 인식됩니다. 이 형태를 그대로 공유할 경우, 외부 플랫폼에서는 인식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ZIP 형식 등으로 압축해서 공유하시기 바랍니다. 리터러처 & 라테의 공식 문서에서도 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크리브너는 영어/서양어를 베이스로 한 앱입니다. 한국어는 물론, 그 밖의 동양어에 대한 배려가 거의 없습니다. 

 

스크리브너는 서양어 베이스다

 

반응형

 

앞으로 이 말씀을 자주 드리게 될 텐데요. 언어를 다루는 앱이 (일부) 언어와 완벽히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은 유저에게 아주 미묘한 불편함을 선사합니다. 아주 가끔은 오류처럼 보이는 결과물을 보여주기도 하고요. 아주 가끔이요.

 

스크리브너 사이트. 그 흔한 언어(Language) 탭조차 없다.

 

 

1. 검색 엔진에서 “스크리브너” 찾기

 

한글로 검색이라도 되는 게 그나마 다행이랄까요. 한국에서도 이미 많은 유저가 스크리브너를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스크리브너”로 검색해 봅시다.

 

구글과 네이버에서의 검색 결과

 

Scrivener - Literature & Latte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2. 설치 파일 다운로드하기

 

 

다운로드 버튼이 여러 곳에 널려 있습니다.

어느 것을 클릭해도 무방합니다. 똑같은 페이지로 링크됩니다.

 

더보기

바로 구매하실 분은 Buy Now 클릭해서 결제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설치 파일은 어차피 똑같아요. 기본 설치 파일로 30일 간 무료 이용하실 수 있고, 앱 내부 인증으로 정품 사용자 등록을 합니다. 구매 절차는 다음에 포스팅하기로 하고요. 오늘은 설치까지만 해보도록 하지요.

 

 

윈도우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합니다.

 

더보기

윈도우 7 및 그 이전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은 PREVIOUS VERSIONS에서 구 버전인 1.9.16을 받으셔야 하는데요. 이 경우엔 스크리브너를 사용하시지 말고 대안 프로그램을 찾으시길 권해 드립니다. 스크리브너 버전 1은 프로그램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데다 오류도 많습니다.

 

3. 설치 파일 실행하기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 Scrivener-installer.exe를 실행합니다.

 

01

 

진행 과정에 크게 어려운 사항은 없습니다.

일반적인 여타 프로그램처럼 약관에 동의하고 Next로 쭉 진행하여 설치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첫 실행 화면을 안내하겠습니다.

 

 

 

※ 실행 환경
Windows 11 64bit 22H2 22621.675
Naver Whale 64bit 3.17.145.12 Cromium 106
반응형

+ Recent posts